자산 2조원 이상의 국내 상장 기업은 2025년부터 의무적으로 ESG 공시를 해야 하고,
이미 대기업들은 ESG 전담 조직 및 인력을 구축하고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는 등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그러나 중소중견기업의 현실은 아직까지 좀 멀었다.
중소기업에 맞는 ESG를 준비할 마땅한 지침서가 없고 ESG 전담 조직도 없다.
우리 기업에 알맞은 ESG 경영 전략 수립도 어렵고, ESG 평가는 받았지만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행까지는 답답하다.
필자가 2023년도에 ESG 심화컨설팅을 하였던 대구에 있는 농업회사법인(주)영풍의 경우도 정말 그러하였다.
한동안 필자가 블로그에 글 올리는 것을 중단하였던 이유도,
ESG 심화컨설팅을 통하여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작성하면서 껶었던 정신적 충격때문이었다.
솔직히 지금와서 생각해 보면 ....모두가 내 탓이었다!......는 생각이 들지만...
문제점은 한두가지가 아니었다.
첫째, 중소기업의 경우, ESG 담당자가 없어 모든 걸 컨설턴트가 다 해 주기를 바란다는 것이었다.
종전에 ESG보고서 작성 컨설팅을 받은 적이 있었으나, CSR보고서 였으며, 컨설턴트가 작성해 주는 것을 그냥 받기만 했다는 것이었다. 하여, 이번에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작성하여 턱 하고 내놓으라! 는 식이었다.
필자는 컨설턴트로서, 고기를 잡아주기 보다는 고기를 잡는 법을 가르쳐, 향후 독자적으로 내년에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행할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으나, 그건 받아들여 지지를 않았다.
둘째, 중소기업의 경우, ESG 경영에 대한 조직이 없어, 이번 과제를 맡은 담당부서 차장님 한분을 빼고는 다들 바쁘다는 핑게로 전연 협조가 안된다는 점이었다. ESG 경영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왜 바쁜데 ESG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지?하는 부정적인 생각으로 협조가 되지 않아, 보고서 내용 시작부터 80여 페이지를 컨설턴트가 작성해야 했으므로 진도가 나가지 않았다.
셋째, ESG 심화컨설팅의 컨설팅 기간이 너무 짧아 예를 들면, 10월 초부터 12월 20일까지 <ESG 경영 체계구축>과 <지속가능경영보고서>작성, 디자인, 검증까지 마쳐 ESG심화컨설팅 완료보고를 제출하기까지 3개월도 채 되지 못하는 기간에 납기를 맞추어야 하였기 때문에 앴당초 무리한 요구였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담을 내용물
-ESG Performance가 없다는 점이었다. 하여, 컨설턴트가 ESG 경영 체계 구축 (문서화)부터 보고서 작성까지 수행해야 하는 이중 어려움을 겪어 ...정신적으로 매우 피로하였다.
넷째, ESG 심화 컨설팅 계획 단계에서 2명 이상의 컨설턴트가 투입되기를 요망하는 산업단지공단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2명의 컨설턴트가 과제를 수행하기로 하였다.
수행계획서를 짜고 과제 수행을 시작하였으나, 같이 수행하기로 한 컨설턴트가 ESG경영 컨설팅에 대한 경험 부족과 특히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에 대한 공부가 되어 있지 못하여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었다. 급기야는 수행계획대로 진행이 되지않아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작성 뿐 아니라 디자인 문제와 편집회의에서 번번히 의견 충돌이 있었고, 마지막 검증을 받기까지는 산 너머 산이었다.
다행히 ESG 심화컨설팅 수행 납기에 겨우 일정을 맞추어 <지속가능경영보고서>작성을 완료하여, 완료보고를 함으로써 위기를 모면하였으니 정말 다행한 일이었다.
그러나, 이번 ESG 심화컨설팅을 통하여 필자는 좋은 경험을 또 한번 하였다.
국내에 공시된 대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아마 100편 정도를 검색하였으리라.
그러나 중소기업의 공시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정말 찾아 보기 힘들었다.
이번에 수행한 중소기업 -농업회사법인(주)영풍의 경우, 식품회사로써 해외 수출을 주는 하는 기업이었다.
대표이사님은 해외에 직접 다니시면서 특히, 유럽의 경우 ESG에 대한 요구를 직접 받으시면서...
ESG 경영의 필요성을 몸소 경험하신 분이라, ESG 경영에 대한 의지가 대단하셨다.
수년간 중소기업을 경영해 오시면서 앞으로 ESG 경영을 하지 않으면 <기업이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을 체험으로 느끼고 계서 이번 과제에 도전하게 된 것이었다..
농업회사법인(주)영풍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사례를 싣는다.
다만, 아직 회사의 사정으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홈페이지에 공시하지 못한 상태라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일부를 싣는 점을 양해해 주시기를 바란다. 왜냐하면, 저작권 침해가 되기 때문이다.
2024년도에도 ESG경영컨설팅은 계속될 것이다.
벌써부터 ISO 인증(ISO 9001, 14001, 45001) 지원사업은 공고가 시작되고 있다.
ESG 경영 컨설팅 사업도 2023년에 이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꼭 지원사업이 아니더라도, 중소중견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 및 자료 요청은
<inno1222@hanmail.net> 또는 <010-3810-9314, 이노시스템연구소>로 문의바란다.
'ESG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경영 수준진단평가서 (0) | 2024.08.01 |
---|---|
ESG경영과 안전보건-강의자료 (0) | 2024.05.14 |
산업단지 입주기업 ESG경영 심화컨설팅을 시작하다 (0) | 2023.10.21 |
탄소중립과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 (1) | 2023.10.15 |
ESG 평가 지배구조(G) 점수도 중요하다 (1) | 202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