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4

폐기물 관리 지침서-사례

환경경영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환경경영이란 글자 그대로 경영에 환경을 접목시켜 기업이 친환경적인 경영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고 온실가스 배출 및 환경오염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경영활동을 말한다. 환경경영은 1. 환경목표 수립 및 계획 2. 분야별 목표 수립 여부 3. 친환경 혁신 실행 4. 온실가스 배출 관리 5. 수처리 및 폐수 관리 6. 페기물 관리 7. 에너지 사용량 추이 등을 검토해야 한다. 오늘은 폐기물 관리에 대해 검토해 보겠다. 폐기물 관리 란,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 운송, 판매하는 전 과정에서 ---자원의 사용을 원천적으로 줄이거나- ---재활용,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여 ---폐기물 배출을 최소화하고 --이를 적법하게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지구가 끓어오르는 시대-과연 어떻게 할 것인가?

오늘 7월 28일 금요일 오후 5시 'JTBC 뉴스 5후' 에서의 보도에 따르면 가 되었다고 한다. 안토니우 구태흐스 UN 사무총장은 가 아니라 시대가 되었다고 언급하고... "지도자들이 이끌어야 합니다. 더 이상 망설이지 말고, 더 이상 변명하지 말고, 다른 사람들이 먼저 움직이기를 기다려서는 안된다" 고 언급했다 한다. 오늘도 덥다. 중소기업 ISO14001 인증 컨설팅을 하다 보면 지도자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우리만 문제가 없으면 되는거 아니야??? 라는 태도가 엿보인다. 내년엔 더 더울 것이라 한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 녹색환경교육 자료를 싣는다.

비상시 대비 및 대응절차서 사례

내일은 (주)부원에코베라의 ISO 45001 인증 현장심사가 있는 날이다. (주) 부원에코베라는 금오공대 지원사업으로 ISO4501 인증을 추진 중이다. 중소기업의 경우,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소기업일수록 위험성평가를 하고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은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2024.1.27 부터는 50인 이하의 종업원이 근무하는 기업들도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이 시행된다.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은 1. 안전보건방침및 목표를 설정 2. 위험성평가를 실시 3. 법규 등을 검토 4. 안전보건활동 추진계획을 수립 5. 구조 및 책임 6. 교육, 훈련 및 자격 7. 의사소통 및 정보를 제공 8. 문서화 및 문서관리 9. 비상시 대비 및 대응 10. 성과측정 및모니터링 11. 내부심사 및 ..

환경목표 운영계획서-사례

ESG 경영을 컨설팅하면서 ... 환경(E) 문제가 다시 대두되면서 중소기업에서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을 컨설팅 해 줄 것을 요구해 왔다. 과거부터 ISO 14001을 컨설팅해 왔지만, 환경경영시스템을 지도하면서 ISO 14001 인증 현장심사까지 도와주어야 한다. 최근 한 기업의 ISO 14001 환경경영시스템 현장심사의 경우, 부적합으로 '환경목표 운영 게획'이 부서별로 작성되지 않았음을 지적받았다. 급히 '환경목표 운영계획서'를 시정하여 심사원에게 제출하도록 지도하였다. 중소기업의 경우, 자주있는 부적합 사항이다. 그 사례를 실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