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에 4일을 ESG경영 컨설팅으로 시간을 보낸다.
수행계획서에 따라 각 업체를 컨설팅하는 일도 쉽지 않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경영자가 ESG경영에 대한 마인드가 없으면 더욱 어렵다.
중소기업의 경우, 담당자가 여러가지 일을 맡아 하는 일이 대부분이다보니
ESG경영 컨설팅을 하려 가도 제대로 대응이 안된다는 점이 문제점이다.
이번에 수행하는 ESG경영 컨설팅은 ESG 수준진단컨설팅이 3개 업체
ESG심화컨설팅이 1개 업체이다.
수행계획서를 작성하고 컨설팅이 진행되다보면
경영자의 관심도에 따라 컨설팅 진행은 다르게 나타난다.
소위 경영자가 ESG경영에 관심이 있으면 그나마 진행이 순로로우나
경영자가 관심이 없고, 상무이사나 담당자가 알아서 하라 하면
그 결과는 지지부진이다.
수행계획의 사례를 보면, 다음과 같다.
ESG경영 전문가가 되려면
전문지식도 있어야 하고
실무경험도 있어야 겠고
과제/문제 해결 역량도 키워야겠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람자체이다.
즉 가치관/목적의식이 있어야 하며, 태도/행동도 중요하다.
참을성도 있어야 하며, 융통성도 있어야 ESG 경영 성과를 창출해 낼 수 있다.
며칠전에는
2023년도에 ESG 수준진단평가를 받아
ESG경영 수준확인서를 받은 회사에서 재평가를 받은 적이 있다.
ESG 경영 수준진단 결과 평가점수는 655점, 평가수준은 Level 1이다.
중소벤처기업인증원에서 ESG경영 수준진단 시 사용하는
<ESG 경영 수준진단 기준서>를 싣는다. 도움이 되시길 바란다.
중소기업이 ESG경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는 있지만
전반적인 준비도는 저조하다.
중소벤처기업진흥원에서 시행한 ESG 경영 대응 동향 Survey에서
ESG사업 집행 시 가장 어려운 점은? 하고 조사하였더니
ESG 전문가 부족이 66.7%로 나타났다 한다.
ESG경영에 대한 전문가 부족이라는 애로사항을 해결하려면
기업의 인식제고 및 저변확대를 위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하겠다.
중소기업 ESG경영 갈길이 멀다.
'ESG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 세신금속 ESG경영 수준확인서를 획득하다 (0) | 2024.11.02 |
---|---|
ESG경영 수준진단평가서 (0) | 2024.08.01 |
ESG경영과 안전보건-강의자료 (0) | 2024.05.14 |
중소기업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 사례 (0) | 2024.02.22 |
산업단지 입주기업 ESG경영 심화컨설팅을 시작하다 (0)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