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스크랩] 온실가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이노두리 2011. 8. 3. 11:24

Q> 온실가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A>

온실가스는 지구복사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한 뒤 다시 지표면으로 보내 지구의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온실가스는 대기의 1% 밖에 차지하지 않지만, 지구의 온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온실가스에는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이산화탄소(CO
2)외에 메탄(CH4), 염화불화탄소(CFCs), 아산화질소(N2O), 사염화탄소(CCI4), 수화불화탄소(HFCs), 수화염화불화탄소(HC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등이 있습니다. 또한 오존(O3)과 수증기(H2O)도 온실가스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정부간 기후변화에 관한 협의체(IPCC) 제4차 보고서 “기후변화 완화 분야”에서는 교토의정서
상의 6종의 온실가스(CO2, CH4, N2O, HFCs, PFCs, SF6) 배출량은 1970~2004년 사이에 70% 증가하였으며, 특히 1990년 이후에 24%가 증가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1970~2004년 동안 온실가스 배출은 에너지 공급부문의 증가(145%)가 가장 크고 다음으로 수송(120%), 산업(65%), 토지이용(40%)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온실가스의 증가는 지구온난화를 더욱 가속화시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   이산화탄소 : 온실가스 방출량의 80%를 차지해 대표적인 온실가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석유나 석탄을 태울 때, 나무를 베거나 삼림을 불태울 때 발생합니다. 생물이 호흡 또는 발효할 때도 발생합니다.

▪   메탄 : 유기물질이 혐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될 때 발생합니다. 혐기성 박테리아는 산소를 싫어하는 세균입니다. 주로 농업과 축산업종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소나 양같이 되새김질을 하는 동물(반추동물)이 풀을 먹으면 위장에서 박테리아가 이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생깁니다. 이렇게 생긴 메탄은 트림을 할 때 공기 중으로 나옵니다. 논 바닥이나 습지 개펄에서도 메탄이 생성됩니다. 대기 중 메탄 양은 이산화탄소의 200분의 1에 불과하지만, 메탄 분자 하나의 온실효과는 이산화탄소의 23배나 됩니다.

▪   염화불화탄소 : 화학적으로 합성된 온실기체로서 프레온가스라고 불립니다. 처음 합성됐을 때 매우 안정된 기체의 성질 때문에 꿈의 화합물이라 불리며 에어컨, 냉장고의 냉매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오존층을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 사용을 줄이고 있습니다. 이산화탄소의 2만 배에 이르는 적외선 흡수능력 때문에 매우 위험한 온실가스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   아산화질소 : 석유나 석탄을 태울 때나 자동차 배기가스에 의해 발생됩니다. 질소비료를 사용할 때도 발생됩니다. 이산화탄소보다 200배 이상 적외선을 흡수합니다.

▪   수증기 : 자연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인데, 지구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더 많은 양이 대기에 포화됩니다.

출처 : 이산화염소
글쓴이 : 깐도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