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절감

원가절감을 통한 혁신 -교육자료

이노두리 2020. 10. 4. 21:53

1. 경영혁신에 대한 의미를 공유

 

경영혁신은 고객과 사회의 변화에 민감해지는 조직을 만드는 활동이다. , 고객중심, 이익중심, 행동중심으로 경영시스템을 바꾸는 것이며, 혁신은 조직을 언제나 새로움으로 가득하게 하고 생동감을 주는 활동이다.

 

2. 경영혁신의 방향은 이익구조 만들기

 

이익구조 만들기의 핵심은 사람의 가동률이다. 8시간은 열심히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는 일하는 시간인 것이므로 0.1초의 동작의 Loss도 허용하지 않기 위해 철저한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개선은 공장의 기본적인 산소호흡으로서 생존을 위해 필수적인 활동이 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 개선이 멈춘다는 것은 기업의 죽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객의 변화와 환경의 변화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개선은 최소한의 산소호흡이 된다.

 

, 이익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생산량을 관리하는 관리자에서 이익을 중시하는 PROFIT Manager로 변신하게 할 필요가 있다. 생산량은 이익을 달성하는 수단이 될 뿐이다. 또한, 언제나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원가를 유지하는 기술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호황일 때 원가 유지는 잘못된 발상이다. 이 때는 당연히 더 많이 생산을 하는 것과 원가 절감이 목표가 되어야 한다. 불황 시에 유연한 대응을 하는 것은 바로 고정비를 유연한 변동비화 하는 데 있다.

 

3. 개선 실행 방법

 

개선은 기업의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호흡활동이라고 보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개선의 필요성이 강하게 나타나지 않으면 절대로 개선을 실시하지 않는다. 개선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 되게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첫째로, 개선을 왜 해야 하는지 배경을 분명하게 한다.

배경에 들어가는 내용은 이익의 감소나 이익을 늘리는 데 기여해야 하는 것을 말한다.

 

둘째로, 개선의 Needs를 먼저 조성한다.

개선의 배경이 분명해지고 나면 이익을 주는 개선을 해야만 한다고 하는 필요성을 강하게 하는 방법이 필요해지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문제를 드러나기 쉽게 하는 방법을 택한다. 문제를 드러나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좋은 것이 재고, 재공을 줄이는 것이다.

 

셋째로, 달성해야 할 이상적인 이미지를 그림으로 그려 공유한다. 개선은 혼자만 하고 혼자를 위해 하는 것이 아니므로 모두가 공유하는 방법이 필요해진다. 누구나 똑같이 이해할 수 있는 변화 방향일 때 개선은 빨라진다.

 

 

-원가절감은 관리자의 교육에서 출발한다.

 중소기업 관리자 원가절감 교육 자료를 올린다.

 교육은 work-shop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원가절감은 교육-계획수립-실행점검-발표 및 꾸준한 FEED-BACK이 필요하다.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하다면 다음으로 연락을 주시면 무료 상담 및 컨설팅도 가능합니다. (010-3810-9314)

 

 

복사본 교육자료-원가절감을 통한 혁신-1.show
0.86MB

 

 

'원가절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가절감 어떻게  (0) 2009.10.31
원가교육  (0) 2009.03.30
이익의 측정-손익계산서  (0) 2009.03.30
원가절감-목표달성계획서  (0) 2008.11.01
원가절감 혁신-추진계획서  (0) 2008.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