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평가에서 환경 등급 높이기
중소기업은 외부 위협과 변화 요구에 자체 대응 여력이 제한적이다.
실제로 가속화되는 ESG 경영 요구에도 불구하고 현실적 한계와 필요성 미인식으로
준비가 매우 미흡하다.
중소기업연구원의 조사에 의하면,
"중소기업 ESG 경영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지만, 준비가 미흡한데다
경영 역량과 데이터도 모두 부족한 상항"이라고 한다.
중소기업의 절반은 탄소중립 대응은 저조하며
탄소중립에 대하여
1. 준비됨----6%
2. 준비중---9%
3. 준비할 계획---29%
4. 계획없음------56% 이라고 답했다 한다.
한 가공식품 Y사의 ESG 평가 결과<NICE 평가정보(주) 의 ESG REPORT-2022-07-21>에서 살펴보면,
기업 ESG 등급에서 특히 환경 E6등급으로 환경 측면의 기회와 리스크 관리 역량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1. 환경경영 체계-----11점
2. 친환경 투자 및 개발---33점
3. 환경성과 관리-----38점
4. 이해관계자 참여--14점으로
평균점수---100점 만점에 23점으로 미흡하다.
내용면에서 보면,
환경경영체계에서 환경경영의 전략적 중요성에 대한 경영진의 관심도와 대응 역량이 미흡한 관계로
환경목표와 계획 수립, 환경경영 실행 및 조직, 환경위험 관리체계 수립이 안되었다고 본다.
연관하여 보면, 환경경영 관련 인증도 안되었고, 친환경 투자 및 개발, 친환경 인증도 없다.
환경성과 관리에서 본다면,
기업의 환경경경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후변화, 에너지효율, 물 관리,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 등
주요성과에 대해 평가하는 지표도 온실가스(에너지) 및 용수 및 폐수 관리가 미흡하다.
이해관계자 참여에서 본다면,
환경정보 및 활동 공개, 이해관계자 소통(환경)도 미흡하다.
컨설팅을 하는 필자의 견해로는
우선 환경경영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환경경영방침 및 환경이슈별 중장기 목표, 전략을 수립하고
임직원 대상 환경 교육도 실시하며
온실가스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원(부)자재 및 재생원료 사용 실적을 관리하며
폐기물 처리실적 등 DATA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Environmental Data 관리를 통해 리스크와 기회 및 대응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겠다.
실제로 필자가 ESG 경영 컨설팅을 하는 D사의 경우,
최고경영자가 먼저 ESG경영 필요성을 강조하셨다.
E, S, G 중 E(환경), 즉 환경경영체계 수립을 제안하셨고
ISO 14001 인증을 추진하고 있으며
환경경영 문서화를 통하여 환경경영 매뉴얼을 작성하고, 환경경영 절차서를 작성하고
환경방침 및 추진목표를 수립하고
환경경영 실행 문서를 작성하여 실행을 지도한다.
내부심사와 경영검토를 거쳐 환경경영시스템 인증(ISO 14001 인증) 심사를 앞두고 있다.
환경방침 및 추진목표 를 액자화하여 부착한 사례와
환경경영시스템 실행문서 목차 -사례를 싣는다.